728x90
2021년 | |
1. 기상 관측법 | |
적외선 영상의 파장 | 10~12um |
3. 대기운동학 | |
전향력으로 인해 벗어나는 정도 | f v t^2 / 2 |
4. 기후학 | |
최난월이 가장 늦는 기온형 | 중위도 해양형 |


2022년 | |
1. 기상 관측법 | |
통풍 건습계에서 오차 발생의 원인 | - 통풍 시간 - 습구의 청결 상태 - 각 온도계의 기차 (설치 각도는 관련 없음) |
기상 레이더 관측 변수에 대한 설명 | - 펄스 길이: 분해능 - 신호대잡음비: 최대 관측 거리 - 펄스 반복 주파수: 유효 관측 거리 |
우리나라의 기상 현상 강도 판정 분류 | 0 = 약,1 = 중, 2 = 강 |
싸락눈 | 백색의 불투명한 얼음 입자 강수 직경: 2~5mm |
연무 | 육안으로 안보이는 작은 건조한 고체 입자가 대기중에 떠다니는 형상. 공기는 유백색으로 탁해 보임 |
이슬비 | 직경 0.5mm 미만의 아주 작은 물입자가 다수 하늘에서 내리는 현상 |
수직측풍장비 | 도플러 변이 이용 라이다랑 비슷 도플러 레이더 원리랑 비슷 반사도 변화 사용 안해 |
열대 폭풍 풍속 | 중심 부근의 최대 풍속이 34~47knots |
2. 대기열역학 | |
에너지 계산하기 | 무게 * 높이 * 중력 |
Clapeyron 선도 | 등온선이 곡선 |
정압비열 | 기체 종류에 따라 다르다 |
푸아송 | 열역학 1법칙이랑 이상기체의 상태 방정식에서 유도 푸: 열1이상 |
비습 식 | q = w / 1 + w |
3. 대기운동학 | |
소용돌이 바람 | 선형류의 종류 주위보다 중심에서 기압이 낮아 기압 경도력이나 원심력에 비해 전향력 무시됨 |
지균풍 속도 | g / f * 델타p / 델타n |
북위 45도에서 10m/s의 속도로 관성운동하는 유체의 관성 반경은 | 100km |
지면 난류가 가장 약한 경우 | 복사안개 낀 아침 |
온도풍 | 등온선을 알면 온도풍 방향 알 수 있다. |
북위 30도에서 두께 10km인 유체가 동쪽으로 5m/s로 이동. 공기층 높이 5km인 산맥을 넘는다면 산 정상에서의 상대와도 |
-3.65 * 10^-5/s |
북위 30도에서 북으로 120km/hr인 물체가 코리올리 힘에 의해 5시간 후 얻게되는 동서방향 속도 변화량 | 동으로 초속 43.7km |
로스비 수가 가장 큰 | 선형풍 |
경압 불안정파 | 남북 차등 가열과 관련 |
경압대기 | 제트류 존재 경제 |
열대교란 로스비 수 | 1 |
4. 기후학 | |
쾨펜에서 w는 여름과 겨울 강수량 배 | 10배 |
태양상수 | 약 1365W/m^2 지구와 태양 평균 거리 취한다 태양광선에 수직인 면이 받는 복사량 |
기후 변화의 영향과 가장 거리가 먼 | 화산 폭발 |
5. 일기분석 및 예보론 | |
전선 | 온난 전선 한기역에 기압 하강 구역 |
한랭정선 통과하면 | 연직 바람 방향 반전 |
순압대기 | 밀도는 기압만의 함수 온도풍 없어 풍향은 고도에 따라 일정 |
기울기 높이가 줄어들면 지균풍속은 | 늘지 촘촘하면 빠르잖아 |
전향력 | 북반구에서 기압계의 이동 경향은 고기압은 남향 저기압은 북향 성분 전고남 전저북 |
728x90
'win-Q 기상기사 공부야..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문 공부- FM 12 SYNOP AAXX(지상 전문) (0) | 2023.09.08 |
---|---|
2023년 7월 11일 기상기사 시험 후기 (4) | 2023.07.22 |
기상 기사 win-q 2021년 3회 차 복습하기 (0) | 2023.07.09 |
2021년 1회 기상기사 필기 (0) | 2023.07.08 |
2020년 기상 기사 1,2회 통합- 공부하기 (0) | 2023.07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