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
1. 기상관측법 | |
수평면 거리 구하는 식 | ![]() |
적설 관측 | 단위 cm 소수 1단위까지 관측 초음파식은 온도 보정한다. 지표면 반 이상을 덮지 않으면 적설은 없는거다. |
운량 결정시 | 구름 농담은 고려하지 않는다. |
구름 농담 | 색체, 명암 등의 짙음과 옅음 |
구름 분류 | 류 --> 종 --> 변종 |
초음파 풍속계 | 분산 사용 |
백열상 | 습도 관측시 통풍 속도는 3~4m로. |

2.대기 열역학 | |
기온과 포화수증기압의 관계 | 비례 기온 증가하면 포화수증기압도 증가해 |
하층 대기 구성비 | 질소 > 산소 > 아르곤 > 탄산가스 > 오존 |
위습구온도 | 공기를 건조 단열적으로 응결고도까지 올리고 다시 습윤 단열적으로 원래 기압까지 내렸을 때의 온도 습을위응 |
위단열 변화 | 비가역 과정 수적 없음. 제자리로 오면 고온이다. |
에너지 계산 | 무게 * 들어올린 높이 *중력 |
엔트로피 | 열량을 온도로 나눈것. |
비열 | 1g의 물체를 1도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|
복원력이 가장 큰 경우 | 높이에 따라 온위의 증가량이 큰 대기 |
가온도 계산하기 | ![]() |
온위 | 응결하면 높아진다. |

3. 대기운동학 | |
f-plane 근사 | 코리올리 인자를 상수로 가정함 f, f 잖아 |
지균풍과 경도풍 관계식 | ![]() |
열대교란의 U & L | 10m/s & 20~200km |
선형풍 | 저기압 중심으로 시계, 반시계 방향 가능 |
관성류 주기 | ![]() |
종관규모 스케일 | 수평 속도 10m/s 수평길이 1000km 연직길이 10km 연직속도 0.01m/s |
대류권의 평균 동서류 | 대류권 상층의 중, 고위도 부근에서 가장 강하다 고위도 지방의 평균 동서류는 근사적으로 근사적인 온도풍 평형을 이룸 겨율에는 적도 가까이 온다. |
내부 중력파 | 연직 전파성을 갖는 파동 밀도 다른 유체에서 발생 부력을 복원력으로 하는 파동 |
경압대기 | 제트류 있다. 경제 |
변압풍 | 기압 경향이 하강하는 중심으 향한다. |
순환 | ![]() |

4. 기후학 | |
복사 강제력 | 대류권계면에서 연직 방향의 순복사조도에 있어서의 변화량 |
쾨펜 구분 | 수분 효율 & 자연 식생 & 기온과 강수량 |
지구 표면당 입사하는 태양 복사에너지 | S/4 (1-A) |
기단 기호 중 k의 의미 | 영향을 미치는 곳의 지표 온도보다 차다 |
서울보다 강릉의 기압이 더 높을 때 | 여름 릉름 |
쾨펜에서 C와 D의 구분 | 최난월 월평균 기온 10도 |
편서풍의 최대 풍속 = 제트류의 위치 | 대류권계면 부근 8~15km |
기후 변화 원인 | - 태양 에너지의 변동 - 지구상 조석 현상의 변동 - 지구와 태양간 거리와 관련된 변동 |
태양 막는 기체 | 아황산가스 |

5. 일기분석 및 예보론 | |
공기 기온 상승의 가장 큰 요인 | 단열 압축 |
지상 일기도의 전선의 위치 | 등온선이 밀집한 구역에 평행하며 남쪽 위도 거리 2~4도 부근에 위치 |
동서지수 | 중위도에서 지상풍이나 상층풍의 서풍 풍속 성분 겨울에 강해 |
한랭 저기압의 축 | 북서 방향으로 기울어짐 |
ww 82의 뜻 | 보통/ 강한 소나기 |
기단 변질의 원인 | - 일사량 증가 - 기단 혼합 - 지면으로부터의 가열 풍속은 별 관련 없음. |
728x90
'win-Q 기상기사 공부야..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1년 1회 기상기사 필기 (0) | 2023.07.08 |
---|---|
2020년 기상 기사 1,2회 통합- 공부하기 (0) | 2023.07.08 |
2019년 1회 기상기사 공부중 (0) | 2023.07.07 |
cbt 기상 기사_ 모의고사_ 각종 대기 정보 있음. (0) | 2023.07.06 |
2018년 3회_기상기사_내용 복습 (0) | 2023.07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