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
우리 나라 겨울철 기단 | cPKu |
푄 | = 치누크 - 산악의 풍하측 지역에서 나타 |
기후학의 열전달 과정 | 전도, 복사, 대류, 잠열 수송 |
윈드칠 | 풍속과 기온 |
증발량 최대 | 아열대 (극으로 갈수록 줄어듬) 아아아앙아아!! 다 사라졌어!! |
기후 분류 근거 | - 지구와 태양의 기하학적 위치 변화 - 식생 분포 - 물 수지 |
지중해성 기후 | - 리비아 동부 해안 - 미국 캘리포니아 - 호주 남서부 |
기온 연교차 가장 큰 | 대륙의 내륙 |
연평균 지표 기온이 가장 높은 위도 | 북위 10도 |
랑의 유량인자 | 연강수량/연평균기온 강평 |
탄소 저장량이 가장 많은 곳 | 퇴적암 |
냉대 기후 D | 남반구에는 없음 |
태양 상수 | 2cal/(cm^2 * min) |
적산온도 | 일평균 기온과 어떤 기준 온도와의 차 등을 주어진 기간동안 합한 값 ~ 도일 : 냉방이나 난방에 관계되는 기후적 시수 |
가수분해 | 대기중 이산화탄소 제거하는 가장 중요한 메커니즘 |
하층이 상층 대기 흐름이 장파 곡에 위치함. | 하층에는 찬 공기가 유입되어 추움 곡소리나게 추워요~~ |
두번째 쾨펜에서 | w: 여름에 비가 많다. |
연강수량 최고 위대 | 0~10도 |
조산운동 | 산지 또는 산맥을 형성하는 지각변동 |
농작물 수확이 큰 기후 | Cfa |
대기의 창 | 8~13um |
하이더 그래프 | 가로: 강수량 세로: 온도 하이더는 평균이다. 체감 기후 판단 |
기후인자 | 위도, 해류, 지형, 수륙분포, 주풍의 방향. 일사는 요소 |
쾨펜에서 온대 기후의 가장 추운 달 평균 | -3 ~ 18도 |
기후형과 기후형 결정 기후 인자 | 동안 기후 & 지리적 위치 |
에크만 | 상층에서 시계 방향 |
intraseasonal variation | 한 계절내의 규모 |
seasonal variation | 계절의 시간 규모 |
el nino | 6개월의 시간 규모 |
annual variation | 1년의 시간 규모 |
동기후학 | - 대기의 주요 수평, 수직 운동 다룸. - 기후 천후 현상이 누적된 것 - 대기 발산구역은 건조지역, 수렴 구역은 습윤 지역 |
동서지수가 저지수인 경우 | - 편서풍이 약해 - 제트 기류가 두개로 나눠짐 - 블로킹 현상 일어남 |
태양 에너지의 최대 복사 에너지 방출 파장대 | 0.4~0.7um |
복사 강제력 | 대류권계면을 통하는 순복사량 |
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연변동 | 육지에서, 고위도에서, 북반구에서 연변화가 크다. |
가장 시간 규모 짧은 변동성 | Madden- Julian Oscillation |
가장 시간 규모 긴 변동성 | Decadal Oscillation |
태양 복사 에너지가 실제 표면에 단위 면적당 입사하는 평균 에너지값 | 0.5langley/min |
사바나 | Aw |
기후의 동적 요소 | 기단과 전선 |
기후는 위도, 대기 순환, 지표의 상태에 의해 지배된다 | by Alissow |
클라이모 그래프 | 상대습도 - 습구온도 : 체감기후 |
극전선 | 극기단과 아열대 기단 극아극 |
쾨펜 요소 | 기온-강수량-기온 |
몬순 현상의 원인 | 대륙과 해양의 비열차 |
열대 사바나 | - 건기, 우기 뚜렷 - 열대 사바나 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은 열대 습윤 기후 지역보다 적다 - 열대우림과 열대 몬순지역을 둘러싼다 |
겨울철 | 대기 냉각으로 고기압. 강수 거의 없음 |
엘니뇨와 라니냐와 관련된 순환 | 워커 순환 |
가이아 이론 | 지구 기후가 최적이 되려면 생물권의 능동적인 작용에 의한. |
대류권의 평균 기온 감률 | 6~7도 |
최근 지구상 가장 낮은 극최저 기온이 관측된 곳 | 일본 남극기지 돔 후지산 |
태양 에너지 | 50% --> 지표면 흡수 30% --> 지표와 대기 반사 20% --> 대기 흡수 |
우리나라 지방풍 | 동풍계는 샛바람 동샛 |
계곡 | 일교차가 제일 커 |
툰드라는 | 한대 기후 |
우리나라는 | 동안 기후야 |
최저기온 | 해뜨고 직후야. |
이산화탄소의 대기중 체류 기간 | 5~100년 |
수증기량이 많아야 | 일교차가 적어 |
우리나라에 해당되는 기후 구분이라면은 | Cfa, Cwa, Dwa |
푄 | 봄, 여름, 가을 |
보라 | 가을, 겨울, 봄 |
캘리포니아 해류 | 한류 |
북동 무역풍과 가장 관계가 큰 | 아열대 고압대 |
지구 복사 흡수체 | 수증기, 이산화탄소, 오존, 구름 |
강릉은 서울보다 기압이 언제 높냐면 | 여름 |
아열대는 | 고기압 |
석탄기 | 고생대 지질시대의 기후변동으로 인해 전세계가 고온다습하고 후기에는 남반구에 극한을 초래했던 시기 |
몬순이 없는 곳 | 유럽 그 이유는 유럽은 지중해성 기후이기 때문에 |
지구가 균질일때 위도에만 관련된건 | 일사량. Insolation |
해양이 열을 더 많이 저장하는 이유 | 밀도가 커서 비열이 커서 빛 투과가 좋아서 |
우기에만 습도가 높은 곳 | 몬순성 열대성 몬열어! 비와! |
기후 인자 | 위도, 수륙분포, 주풍, 지형, 해류, 기압 |
우리나라 기후 | Dw |
마파람 | 남풍 마남 동샛 |
불쾌지수는 | 건구온도가 높고 건구와 습구온도 차이가 적을때 높아. |
대기의 창 | 8~13um |
태풍은 | 아프리카 남서해안 지방에서는 생기지 않아. |
강수량이 연중 일정한 | Cf |
극지방의 강수가 적은 이유 | 온도가 낮아 수증기가 매우 적어서 |
기후 Ds | 지구상에는 절대 없는. |
높새바람의 풍향 | 북동풍 북동높새 |
대기 대순환에서 남북 방향의 평균적인 순환 | 평균 자오면 순환 남북자 |
대기 - 식생 | 간의 탄소 교환이 가장 활발해 |
우리나라에 영향 안주는 기단 | cA |
연 강수량과 연평균 기온의 비 | 우량계수 강기우 |
극기후 EF의 최난월의 평균 기온의 한계 | 0도 |
아르헨티나 북부 | 아열대 기후 |
기후 변화 유발하는 온실가스 | CO_2, CK_4, CFC-11 |
728x90
'win-Q 기상기사 공부야..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8년 1회 기상 기사 필기 복습 중 (0) | 2023.07.06 |
---|---|
2023년 7월 5일 5. 일기 분석 및 예보론 (0) | 2023.07.05 |
2023년 6월 28일에 풀었지만 7월 3일에 되서야 하는 오답. (0) | 2023.07.03 |
2023년 6월 27일 젤 어려운 대기운동학;( (0) | 2023.06.28 |
2023년 6월 26일 기상기사- 2. 대기열역학 공부 (0) | 2023.06.27 |